AUTO CAD/AUTO CAD강좌

[AUTO CAD]오토캐드 강좌 part.14 연속선수정(pedit) 명령어

DiYoon 2014. 4. 14. 22:48
반응형






[AUTO CAD강좌]


오토캐드 강좌 part.14 연속선수정(pedit) 명령어 이용하기


연속선(PLINE)을 지난시간에 강의해드렸습니다

객체를 생성하였으면

수정이 가능해야 

오토캐드로서의 기능을 완벽하게 

하는거겠죠??




<연속선수정(PEDIT) 명령을 이용한 수정>





우선 연속선(PLINE)명령을 이용해 이미지와 같은 객체를 

생성해보시기 바랍니다.





1. <PEDIT 명령어 입력>

(단축키 PE)


2. <엔터키 입력>





이미지와 같이 

PEDIT 폴리선 선택 또는 [다중(M)] 이라는 문구가

보이게 됩니다.


3. <PLINE으로 생성된 객체 선택> --- 기준이될 객체 선택





객체가 선택됨과 동시에 

이미지와 같은 옵션들이 나타나게 됩니다.

이것으로 연속선 수정(PEDIT)의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.




<연속선 수정(PEDIT)를 이용해 열린객체 닫기>





위의 3. 번까지 작업을 하시고


4. <C 입력> ---  닫기 옵션 설정


5. <엔터키 입력>





엔터키를 입력함과 동시에 

열려있던 객체가 닫혀있는 하나의 

객체로 수정된것을 보실수 있습니다.




<연속선 수정(PEDIT)를 여러개의 객체 합치기>





우선 연속선(PLINE)명령을 이용해 이미지와 같이

서로다른 연속선을 

생성해보시기 바랍니다.

(꼭 연속선이 아니라 라인또는 호 라도 상관없습니다)





위의 3. 번까지 작업을 하시고


4. <J 입력> ---  결합 옵션 설정


5. <엔터키 입력>





6. <PLINE으로 생성된 객체 선택> --- 두번째 객체 선택


7. <엔터키 입력>





서로다른 두개의 연속선(PLINE)이 

하나의 연속선으로 수정된것을

보실수 있습니다.





선택하여 하나의 객체로 결합이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

<연속선 수정(PEDIT) 결합 tip>





연속선수정(PEDIT)를 이용해 라인으로 생성시킨

3개의 객체를 결합시킬수도 있습니다.





1. <PEDIT 명력어 입력>

(단축키 PE)


2. <엔터키 입력> 





3. <M 입력> --- 다중선택 모드

(다중선택을 하지 않고 기본 결합처럼 하셔도 됩니다)


4. <엔터키 입력>





5. <LINE 으로 생성된 모든 객체 선택>





라인(LINE)으로 생성시킨 3개의 객체를 모두 선택하였습니다.


6. <엔터키 입력>





이미지와 같이 선,호 ,스플라인을 폴리선으로 변환하려하는지

묻는 문구가 뜨게 됩니다.





결합을 시킬것이기 때문에


7. <Y 입력> --- YES 선택


8. <엔터키 입력>





엔터키를 입력하시면 

연속선(PLINE)을 선택하였을때 처럼

연속선수정 옵션들이 보이게 됩니다.





9. <J 입력> ---  결합 옵션 설정


10. <엔터키 입력>





PEDIT퍼지 거리 또는 [결합 형식(J) 입력 <0.0000>

이라는 문구가 보이게 됩니다.





11. <0 입력> --- 틈이없이 결합


12. <엔터키 입력>





선택하여 하나의 객체로 결합이 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




<연속선 수정(PEDIT)으로 폭변경>





위의 3. 번까지 작업을 하시고


4. <W 입력> ---  폭 옵션 설정


5. <엔터키 입력>





6. <3 입력> --- 원하는 폭값 입력


7. <엔터키 입력>





폭이 변경된것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.



이상 오토캐드의 연속선수정(PEDIT)명령어에 자주쓰는 옵션에 대해 

간단하게 알아보았습니다,

이제 막 오토캐드를 접하신분들께 조금이나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.


이해가 안되시거나 연속선수정을 하는 방법에

대해서 추가 적인 방법을 원하신다면

댓글을 이용해 주시면

문의 하신방법에 대해 

추가적으로 글을 수정할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^^


좋은하루 되세요



반응형